우리들은 직장이나 일상생활에서 꽤 자주 창의력을 요구합니다.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결과물 디자인 프로세스 등을 요구하지만 좋고 창의적인 아이디어는 뚝딱 나오지 않습니다.
괴짜라고 인식했던 사람들이 창의적인 결과물로 성과를 크게 거두는 모습을 보면 창의성은 천재의 전유물이라고 느낄 정도입니다.
예시로 획기적인 아이디어로 애플을 살린 스티브 잡스나 뛰어난 발명품으로 사람들을 놀라게 한 레오나르도 다빈치 또한 창의력이 높은 천재들입니다. 하지만 정작 그들이 말하는 창의력은 우리의 생각과는 뭔가 달라 보입니다.
그들은 창의성이 천재들의 전유물이 아니며 일반적인 사람들도 충분히 키울 수 있는 능력이라고 말합니다. 그럼 어떻게 해야 창의력을 효과적으로 키울 수 있을까요?

자신의 창의력을 높이는 4가지 방법
인지니어스의 저자이자 스탠퍼드 대학교의 교수인 티나 실리그는 스탠퍼드 대학교의 인재 양성소 디스쿨이 창의력을 키우기 위해 실시하는 한 가지 활동을 소개했습니다.
그것은 바로 관찰입니다. 우리를 둘러싼 세상에는 실제로 많은 아이디어와 정보가 존재하지만 물고기가 물을 인지하지 못하듯 우리도 주위 환경 속에서 우리 예상 너머의 정보를 인지하고 뽑아내는 데 서투릅니다.
실제로 디스쿨에 다니는 학생은 올바른 관찰을 배우기 위해 약 10주 이상을 보내며 이러한 관찰 활동은 실제로 그들의 시야를 넓혀주어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내는 데 매우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먼저 한 가지 물체에 관심을 가져야 합니다.
관심 없는 관찰은 관찰 자체를 지루하게 만들며 세심한 관찰의 시작은 물체에 대한 열렬한 관심으로 시작된다 이러한 관찰 대상은 자신의 주위에 있는 물건 자신의 관심 분야에 관련 있는 대상 그리고 자신이 자주 들르는 장소를 정하는 것이 좋다.
두 번째는 관찰 체크리스트를 만드는 것이다.
관심 없는 관찰은 관찰 자체를 지루하게 만들며 세심한 관찰의 시작은 물체에 대한 열렬한 관심으로 시작됩니다. 이러한 관찰 대상은 자신의 주위에 있는 물건 자신의 관심 분야에 관련 있는 대상 그리고 자신이 자주 들르는 장소를 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두 번째는 관찰 체크리스트를 만드는 것입니다.
질문 리스트를 미리 만들어 놓음으로써 아무런 기준 없이 너무나 많은 정보를 얻는 것을 방지하고 획득한 정보를 깔끔하게 정리할 수 있습니다.

세 번째로 관찰을 통해 얻은 정보를 표현할 방법을 익히는 것입니다.
관찰 활동을 하는 것은 좋지만 관찰 활동 만으로는 창의력을 높이기 쉽지 않습니다.
이는 단순히 자세한 정보를 얻은 것일 뿐 우리가 이를 응용해 창의력을 사용한 것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자신의 관찰 내용을 효과적으로 기록할 수 있는 여러 가지 테크닉을 익혀 보고 들은 것을 자신만의 방식으로 표현해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새로운 시선으로 관찰하는 것을 두려워하지 않는 것입니다.
자신의 체크리스트를 계속 갱신하거나 다른 사람들은 같은 대상을 어떻게 관찰하는지 참고합니다.
창의력은 절대 무에서 유를 창조하는 것이 아닙니다.
남들이 보지 못하는 것을 보고 남들이 봐왔지만 무시했던 것들을 재해석 할 수 있는 사람이 바로 현대사회가 원하는 창의적인 인재의 모습 중 하나일 것입니다.
마지막 요약으로
창의력은 천재들의 전유물이 아닙니다.
창의력은 일반적인 사람들도 충분히 키울 수 있습니다.
창의력을 효과적으로 키우기 위해서는 관찰을 해야 합니다.
이상 여기까지 자신의 창의력을 높이는 4가지 방법에 대한 내용입니다.
답글 남기기